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파이어베이스의 작동 원리 들어가면서 우선 웹을 만들고 비루하지만, 하나의 사이트를 호이스팅하는 경험까지 해볼 수 있었다 혹시 정글 다음기수 지원자 분들께서 이 글을 보신다면, 노베이스라면 앞부분 챕터의 난이도만 보고 사전교육자료 공부시간을 적게 잡진 마시라는 조언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비전공이고 이런 프로젝트형 구현은 처음인 사람이었는데(코딩 경험은 있음) 하루에 2-3시간 정도만 정글에 쓰다가 막판에 조금 힘들었습니다. 참고로 마지막에 aws와 db부분은 완전히 처음인지라(코틀린을 위한 가벼운 crud만 sql로 가능한 수준이었음) 하루에 4-5시간 이상 썼습니다. 아마 미리미리 했다면 최소한 하루 코딩 7시간을 찍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파이어베이스가 뭐지 다른 분야는 모르겠지만, 코틀린으로 어플을 만들어본 사람이라면 .. 2024. 2. 11.
js파일 분리하기 파일 분리 이전의 준비 일반적으로 선언한 js에서는 함수를 정의할 때에 function 함수명으로 작성하는 반면, 다른 곳에서 불러들여야하는 함수를 정의 시에는 export function함수명으로 작성한다. 파일 혹은 클래스 분리의 기준 나의 경우 다음과 같은 원칙을 생각하며 나눈다. 단일 책임의 원칙 클래스 혹은 파일은 하나의 기능만을 가지도록 한다. 나는 처음에 이 기준이 감이 안와서 하나의 클래스에 코드가 100줄에 육박하면 클래스나 파일을 나눌 지점이 없는지 확인해보았다. 모듈화 간혹 코틀린과 같이 다른 언어에 비해 문법이 간소화된 언어라면 모든 기능별로 파일을 분리하면 굉장히 작은 크기의 파일이 많이 나오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나는 이 경우 논리적으로 묶일 수 있는 내용(예를 들어서 카카오.. 2024. 2. 11.
html상속하기 html 상속 html을 상속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지만, 나의 경우 Jinja2 템플릿의 문법을 활용하여 상속하였다. code //부모 클래스의 내용 {% block header_content %}{% endblock %} //자식 클래스의 내용 {% extends "부모파일명" %} {% block header_content %} //자식 클래스 내용물 작성 이런식으로 작성을하면 상속이 완료된 것이다 사용처 나의 경우 다른 언어에서는 유지보수와 논리적 흐름에 따라 상속을 나누지만, html에서는 그보다는 재사용과 유연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나누는 편이다. 상속을 활용하면 좋을 때 아래의 게시물 내용은 참고사항일 뿐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개인의 스타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관되고.. 2024. 2. 11.
반응형 헤더 만들기 # Header 우선 헤더를 제작할 때에 나의 경우 내 깃허브 블로그를 많이 참고하였다. 따라서 규격화된 사이즈가 아닐 수도 있으니 css사항에 다른 곳들도 좀 더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반응형 기본 코드 반응형으로 사이트를 만들 때에 많이 쓰는 기본적인 코드의 틀은 다음과 같다. ```htm @media screen and (max-width: 600px) ``` 으로 max-width에는 최대 넓이가 들어가기 때문에 나와 같이 코딩할 경우 0-600px의 화면까지는 저 아래에 작성한 css요소의 설정이 들어가고 그보다 클 경우 기본으로 세팅한 내용이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반응형 웹의 경우 크기가 상대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요소들을 설정할 때에 절대적인 크기인 px보다는 다른 .. 2024. 2. 11.